연혁 및 지명유래

약사동

설명박스 아이콘
약사동은 숙종 34년(1708)에 부평리와 약동리로 갈라져 있었다. 영조 41년(1765)에는 부평리와 약사동리, 정조 때는 부평리, 고종 31년(1894)에는 부평동·내약동·외약동, 1911년에는 평산동·내약동·외약동으로 갈라져 있었다가 1914년의 행정구역개편때 이를 합하여 약사리라 하였다.

약사

  • 약동, 약사동, 내약·외약 등으로 변천한 것인데 若(약)·藥(약)은 일찍부터 호전되어 왔다. 약동, 약사(泗), 약사(師)등은 모두 약물탕이 있어 이 약수로 말미암아 약수골이라 한데서 유래된 것이다.

원약

  • 본시 약수골이라 하ㆍ 곳이다. 약수가 나는 샘이 있었으므로 그렇게 불렀으며 지금도 그 샘터가 있다. 고종 31년(1894) 이래 외약이라 하여왔으나 뒤에 원약이라 불렀다. 외약이라 함은 약수골의 바깥마을, 약(若) 약(藥)의 음차이다. 원약은 약수골의 본 마을이라는 뜻을 담고 있는 이름이다.

내약

  • 고종 31년(1894)이래 내약이라 불러왔는데 약수골의 안마을이라는 뜻이다. 원약의 북쪽에 있는 마을이다.

평산

  • 평산은 이조 초기부터 부평이라 하여 오다가 1911년에 평산으로 고친 하부면의 땅이었다. 평은 평평한 광원의 뜻이 된다. 옛 지명에 나타나는 여러 말들을 의역한 것이 평(平)·평(坪)이 되었다. 또 살을 취의음사 한 것이 미(米) 또는 매·활로도 되었다. 그러나 이것보다는 평안하다는 뜻을 가진 것으로 봄이 더 타당하다. 이러한 뜻을 나타내는 것은 평동의 예에서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부평은 부유한 동네가 되는 것이며 평산은 단지 부(富) 대신 산을 넣었을 따름이니, 역시 편안한 마을이라 할 것이다.

부평역

  • 부평역은 평산에 있었다. 좌병영이 생기고난 뒤에 새로 생긴 역이며 경주 지방을 관할하던 장수도에 속해 있었다. 여기에는 대마 한필, 중마 한필, 짐을 나르는 복마 9필, 노 13인, 비 5인이 배치되어 있었다.

무정등

  • 평산에서 복산동으로 넘어가는 고개길인데 여기를 지나면 사람이 보이지 않는다 하여 부르게 된 것이라 한다.

주연동

  • 약사동의 맨 북쪽 끝에 있는데 이 마을은 약사·성안·가대의 분기점을 이루고 있다. 산이 둘러있는 분지로 된 곳인데 웅덩이 같다하여 주연동이라 한 것으로 생각된다. 동은 깊은 골짜기의 뜻이 된다.

태봉산

  • 원약의 남쪽에 있는 작은 산인데 철모를 엎은 것 같이 생겼다. 마을 사람들이 속설에는 신라 경순왕 때의 태봉지라 한다. 태봉산의 남쪽에 있는 작은 마을을 가내골이라 한다. 내상 의가에 있는 내라 하여 약수골에서 흘러 동천으로 빠지는 내를 가내라 하였으며 이 가내가에 있는 마을이므로 가내골이라 한다. 또 여기에서 남쪽 일대를 가내골이라 하며 내를 속칭 가내골 도랑이라 부른다.

황새골

  • 평산에서 성안동의 환생사에 이르는 골짜기를 황새골이라 한다. 아마 황새들이 날아드는 골짜기라 하여 그렇게 부르는 것으로 생각된다.

큰밭골

  • 원약에서 병영 쪽으로 넘어가는 마을을 큰밭골이라 한다. 이는 밭의 한 구역이 크다하여 그렇게 부른다.

천지당

  • 원약의 동북에 있는 낭떠러지를 천지당이라 부른다. 깊고 위험하므로 그렇게 부르는 것 같다.

새이골

  • 내약에서 주연동으로 넘어가는 곳에 새이골이 있다. 이는 사이골이라는 말이 된다.

감현골

  • 내약의 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며 감현산에서 뻗어내린 골짜기이다.

개무지골

  • 내약에서 주연동으로 가는 곳에 있는 한 골짜기를 개우지골이라 한다. 개우지가 나타나는 골짜기이기 때문에 그렇게 부른다. 개우지는 개호주로써 울산의 방언으로 갈자지라 한다.

내약고분

  • 황방산 일대는 신석기시대의 빗살무늬토기를 비롯하여 원삼국시대에서 통일신라에 이르는 시기까지의 토기와 석기등이 출토된 곳이다. 10년전에 도로의 개설공사중에 한 판석을 들어내니 그것은 바로 석곽분이었다. 이 고분에서 2점의 토기와 1점의 숟가락이 출토되었다. 주목할만한 것은 무덤내부에 짜올린 돌에 참종이를 발라 밀폐한 것이 부식되지 않고 그대로 있었다 한다.
방문자 통계